<황금시대>의 감독인 허안화 감독의 <심플라이프>를 봤다
중국어 제목으로는 '桃姐'
여주인공인 엽덕한이 맡은 인물의 애칭이 '아타오'
'아타오'에서 따와 제목을 타오지예(桃姐)라고 지은 듯하다.
120분 가까이 되는 러닝타임 동안
정말 흐뭇한 미소를 보면서 본 영화
최근에 본 영화 중에서 가장 맘에 들었다
줄거리 상 엄청난 반전이나
시각적으로 큰 효과는 없지만
주인공인 유덕화와 엽덕한의 관계가 그 어떤 절절한 로맨스보다
보는 사람을 미소짓게 했다.
(스포있음)

아타오(엽덕화 역)는 로저(유덕화 역)의 집에서 60년 동안 일한 가정부다.
한 가족이 4대를 이어 나가는 것을 곁에서 계속 지켜봤을 정도로 오랫동안
로저의 가족과 아타오는 함께 했다.
그래서인지 피 한방울 섞이지 않은 아타오와 로저, 그의 가족들은
아타오를 친가족보다 더 아끼고 사랑해준다.
아타오는 로저를 어릴 때부터 업으면서 키운
어쩌면 친엄마보다도 더욱 가까이서 그를 지켜보고
짠 음식이나 고기를 못 먹는 로저의 식성을 제일 잘 알고 있고
로저 역시 아타오가 해주는 음식을 제일 좋아한다.
60년의 세월만큼이나 아타오의 몸도 늙어있었고
중풍에 걸려 한 요양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로저를 제외한 로저의 가족들은 모두 미국에 있기에
아타오를 입원시키고 보살펴주는 것은 오롯이 로저의 몫이다
친가족조차 요양병원에 맡기고 자신의 부모를 찾아오지 않는데 반해
로저는 꾸준히 요양병원을 찾아 아타오를 돌봐준다


아타오가 머무는 병원에는
요양병원비가 없어서 자신의 엄마를 닥달하는 딸도 있고
딸이 아파 딸을 병원에 맡기고 딸을 보살피러 찾아오는 엄마도 있다

로저와 아타오의 사이는 여전히 맑다!
자신의 유년시절과 성장기를 모두 곁에서 보살펴준 아타오에게
로저는 정말 지극정성으로 그를 보살핀다
아타오를 모른 척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부담스럽게 아타오를 보살펴주는 것도 아니여서 더욱 담백했다

그도 그럴 것이 로저의 친구들 모두 아타오를 추억하고 있었다
로저가 어릴 적, 친구들이 집에 찾아오면 아타오는 푸짐하게 한 상 차려 대접해줬고
후에 아타오의 요리를 먹으면 친구들과 로저는 당시를 추억할 수 있었다



정말 어떤 연인보다 두 배우가 보여주는 호흡이 최고였다
친자식인 것 마냥 로저를 따뜻한 눈으로 바라보는 아타오
그런 아타오를 진심으로 위하는 로저 ㅠㅠㅠㅠ
(유덕화 정말 멋있게 나온다, 눈가의 주름이 접힐 때 주금;;)



로저의 엄마도 아타오에게 지극정성
아타오가 60년이라는 세월을 얼마나 자신네들의 가족을 위해 애썼는지를
오랫동안 지켜본 로저의 엄마는 로저보다 더 잘 알고 있을 테니까





택시운전기사, 에어컨 수리공으로 오인받는 로저는 사실 영화제작자
로저가 참여한 영화 시사회에 아타오를 초대했다
항상 병원에만 있는 아타오는 시사회를 위해 곱게 차려입고 로저의 영화를 보러 갔다
'우리 아들이 만든 영화는 단연 최고지!'인 것처럼
로저는 아타오가 만든 것이라면 (지루해 졸았더라도) 최고였다!며 로저를 칭찬해준다
(이 장면 정말 좋았다!!)

로저의 가족사진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타오
이 장면도 뭔가 찡했다
친가족은 아니지만 긴 세월동안 그 어떤 가족의 일원보다
더 완벽히, 아타오는 그들의 가족이 된 것이니까





아타오 역시 요양병원에 있는 다른 노인들처럼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결말
시간은 누구에게나 흘러가고
아타오 역시 예외는 아니니까


아타오는 떠났다
하지만 로저의 마음 속에서만은 아타오는 남아 있다
스토리의 영향인지 유덕화가 정말 백배천배 멋있어 보였다
와
그건 그렇고
잔잔하디 잔잔한 이 영화가 무척이나 마음에 든다
입양되자 마자 양부모가 가난해 로저의 가족으로 일하러 들어간
아타오의 삶이 생각보다 훨씬 값지다는 느낌이다
평생을 누구를 위해 일한 아타오의 말년을
로저가 따뜻하게 곁에서 지켜준 것이 마음이 따뜻해지고
로저뿐만 아니라 로저의 엄마, 로저의 여동생 모두
아타오가 60년 동안 자신들의 가족을 위해 애썼던 것들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알고 있다는 게 좋았다
또, 그렇다고 해서 아타오의 마지막이 너무 화려하거나 억지스럽지 않았고
요양병원의 다른 노인들과 비슷했다는 점 역시 좋았고
나도 나이들어가지만 나보다 더 빨리 나이들어갈 부모님이 생각나는 건 당연한 듯
정년퇴직할 나이가 다가오는 우리 부모님이 노년의 삶을 어떻게 꾸려갈지,
자식으로서 궁금하기도 하고 걱정되기도 하고
로저의 상황처럼 부모님을 요양병원에 맡겨야만 할 상황이 올 때
나는 어떻게 부모님을 보살필 수 있을 것인지
병원비 때문에 부모를 비난하는 영화 속 딸을 무조건적으로 비난할 수 없다는 생각
다만, 로저의 말처럼
"아타오가 내가 심장 수술을 받을 때 날 돌봐줬던 것처럼
나도 지금 아타오를 돌봐주는 거야
정말 다행이지 둘이 서로를 돌봐줄 수 있는 상황이 되어서
하느님은 이렇게 모든 사람들의 운명을 잘 안배하나봐.."
나의 유년시절, 내가 아플 때 돌봐주었던 부모님의 말년을
내가 돌봐주는 건 어쩌면 세상의 순리일지도
*
<桃姐>를 추천한 한 중국기사 발췌
《桃姐》:感人至深“主仆情”
当朝夕相处的主与仆产生了如亲人般的信任和依赖,他们就成了“没有血缘关系“的家人。正是因为”少爷“懂得报恩,才让”桃姐“这个风烛残年无依无靠的老人,享受到了如亲生儿子般的照顾和孝顺!
桃姐(叶德娴 饰)是侍候了李家数十年的老佣人,把第二代的少爷罗杰(刘德华饰)抚养成人。罗杰从事电影制片人,五十多岁了仍然独身,而桃姐也继续照顾罗杰,成为习惯……一日,桃姐中风了,必须利用物理治疗尽量恢复活动能力。罗杰在百忙工作中为桃姐找合适老人院,期间巧遇昔日电影拍摄认识的草蜢哥(黄秋生饰),桃姐出院来到老人院,环境陌生,院友怪异。罗杰工余常到老人院探望桃姐,主仆闲话家常一如母子……
기사원제: 暖暖推荐:《桃姐》《当幸福来敲门》等六部感恩电影
요약하자면
"몇 십년이 넘도록 결혼도 하지 않은채 로저를 돌본 아타오는 로저를 돌보는게 습관처럼 되었고
원래 로저는 아타오가 섬겨야 할 주인의 아들이지만 긴 세월 동안 두 인물의 관계는 마치 모자관계와 같았다"
는 내용
**
홍콩영화제를 비롯, 각종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받았다고 한다
***
桃姐:我们又将如何终老?
우리는 여생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허안화 감독의 다른 작품 세계와 비교하며 본 영화를 설명해주는 글
출처: http://www.u148.net/article/67838.html
桃姐是无比幸运的,就算儿孙满堂的老人都不敢奢望的善终,她孤寡的人生却是走得如此圆满。《桃姐》也是幸运无比的,不在于她斩获并将继续斩获多少奖杯,首先得庆幸它没被拍成凝重的《老人院的日与夜》。许鞍华在坚守与探索中再一次触碰到了我的内心,让我在悲喜之间经历着某种介乎梦境与现实的人生。
《桃姐》不仅是一部好电影,还是一部好看的电影
为什么不说“《桃姐》不仅是一部好看的电影,还是一部好电影”?两种表达文字一样,只是词序颠倒,语境中多表达的立意却完全不同,前者是强调的基础,后者是这个基础上的延伸,倒过来重心就偏颇了。相信许鞍华在《桃姐》的创作逻辑上,首先是在追求一部好电影,进而向好看的电影看齐。在当今中国影坛,两个要素同时齐备的作品已十分鲜见。
换句话说,好看的电影未必是好电影,而好电影也未必能如何好看(请不要曲解成如何难看,这里只是就阅读的流畅性和愉悦程度而言)。比如《变形金钢3》,它酣畅淋漓,夺人耳目,但它同样可能是今年愚人节上美国金酸莓奖的最大赢家。再比如《天水围的日与夜》,它可以深入一部分人的内心,但多数人却未必有兴趣去承受那份沉闷。尤其在追求感官享受的商业大片的引领下,好电影和好看的电影的分化愈发显著。
《桃姐》的故事并不复杂,讲述的是少爷Roger相送从小照顾她的佣人桃姐终老的故事(送终),阐释的是一段触人心动的主仆情。故事从女仆桃姐日常买菜做饭开篇,Roger除了惦念想吃牛舌,并和桃姐没有更多的言语交流,二人间之间的生活略显机械和冰冷。故事的转折从桃姐突然中风开始,Roger想请人照顾桃姐,桃姐却提出要去老人院。人物背景渐渐拉开,原来桃姐13岁进Roger家门,已然伺候这个家庭60余年了,如今受她照顾的五代人除了已故老人,其余均移民美国多年,身边只剩她最偏爱的Roger,Roger也就成了桃姐在港唯一“亲人”。
《女人四十》里的对命运摆布的不甘,《男人四十》里对夫妻中年危机的解化,《天水围的日与夜》里家常的一日三餐,乃或早年《客途秋恨》里母女之间和国别文化的鸿沟,许鞍华素来善在一定社会要素中,用细腻的笔触探索人与人之间的微妙。《桃姐》会是一次突破还是坚守?奔波的Roger固然无力照顾桃姐,老人院也就成了桃姐命运的归宿,故事这样开篇,咋看一部慢节奏的《老人院的日与夜》呼之欲出。
然而和许鞍华大多数作品手法略有不同,《桃姐》在坚持写实的基调和纪录的镜头下,细节上大量引入了浓烈的生活情趣。Roger带桃姐去散步,两人聊起家常,竟然谈起了彼此的爱情。桃姐回忆起Roger以前一位高高的模特女友,Roger却不失苦趣地说,人家现在是大明星郭富城的女友了;Roger反问起桃姐终身未嫁,是不是因为暗恋自己父亲;Roger谈起老人院里那个老人(秦沛饰)是不是在追桃姐,桃姐连呼太恶心了,谈话以两人开怀爆笑收场。
喜剧的元素在许鞍华以往作品中也能看到,尤其是《姨妈的后现代生活》,彻头彻尾就是一部喜剧。许鞍华的导演生涯中,影片类型还不太丰富,但也还算宽泛,早年甚至还拍过《书剑恩仇录》和《香香公主》这样的武侠片,也曾经对张爱玲的《倾城之恋》和《半生缘》暧昧过,有那么两部的作品,似乎开始泛起铜臭的涟漪,比如《玉观音》和《姨妈的后现代生活》。在经历了两部沉闷“天水围”之后,许鞍华又推出的女同话题《得闲炒饭》,继续喜剧。
这一次,许鞍华并没有像《姨妈的后现代生活》,完全用喜剧的手法来拿捏和塑造人物,也没有像《得闲炒饭》那样,用喜剧语言来推展和构架故事。总体来说,《桃姐》里的喜剧是有节制的,点到即止。喜剧在《桃姐》里有两方面的作用,一方面用来中和桃姐孤寡命运的悲怜,一方面用来中和全片的文艺调性,为影片将来在院线上映服务。
之所以把后者提到台面说,是因影片中提供的证据多多,比如《桃姐》对影视圈生态现状的写生。不少电影都喜欢自嘲一下圈里那些人那些事,但大多数都是碎片式的恶搞,往往艰涩到只有圈内知情人看了才莞尔一笑,《桃姐》里却大张旗鼓做了整整一条辅线,而且非常直接。Roger身份就是个电影人,正监制一部三国题材电影,在忽悠老板(保利博纳老板于冬饰)追加投资的戏中戏里,Roger和徐克、洪金宝两位导演狼狈为奸;歌手去老人院慰问献唱,结果只是虚伪的慈善秀,连送老人的月饼都说是道具竟然收回……
除了两场戏的徐克和洪金宝本色出演,杜汶泽、梁天、谭炳文、罗兰、宫雪花、江美仪、宁浩等熟脸在桃姐世界里逐一亮相,资方恨不得路人甲乙丙丁都没放过(遗憾只看了一遍,未能一一认出,据说还有Angelababy、林家栋和刘伟强等一闪而过)。明星客串原本是商业片惯用手法,这次在文艺调的《桃姐》里也用了个酣畅淋漓。加上主角刘德华和叶德娴领衔,配角黄秋生、秦沛、王馥荔和秦海璐坐镇,《桃姐》的阵容别说是文艺片了,一般中小制作的商业片都不敢多奢想。
对电影圈讥讽的高潮出现在Roger监制电影《空城计》首映礼上,末了Roger问桃姐电影好不好看,桃姐说好看,而桃姐其实看着看着就睡着了。Roger心理很明白得很,他告诉桃姐,中途很多人走了,就是为了避免结束时还要违心跟导演说客套话。故事到此,对电影圈的点穴也就到此为止。首映活动结束,导演的笔墨并没有用来雕刻制片人的失落,而是回到两人情感的交流上。这场戏以一个街角背影的镜头收官,两位主人公牵着手,互称“大帅哥”和“大美女”,将Roger和桃姐感情愉悦地推向第一轮高潮。
或许喜剧在《桃姐》里并不是许鞍华内心的语言,更多的是对文艺调的一种中和,或者说是对市场的某种迁就,所以尽其能事投年轻人所好,争取把《桃姐》整成为一部好看的电影。不管是出于许鞍华的动机,还是出于资方发行的考虑,这个感官上的目的应该是达到了。而许鞍华的追求,固然不会止步于拍摄一部好看的电影。
《桃姐》即是心灵的召唤,也是现实的鞭挞
《桃姐》的主题并不在影视圈的种种八卦上,更侧重在时代的冷光灯下寻找丝丝游离人性的温暖。桃姐六十年如一日照顾了Roger一家五代人,终其一生做个尽职尽责的佣人,这份本分和坚守,在今天这个时代又还能挖掘出几个案例?如桃姐在老人院的调养刚有起色,就着急给Roger招聘新的佣人,然而面试一如《非诚勿扰》里的葛优的相亲遭遇,当代人的五彩斑斓欲求参杂其间,毫不掩饰地呈现,和桃姐的那份质朴正好相映成趣。
许鞍华对《桃姐》的主题毫不掩饰,Roger兄妹车里那番对话点得跟水晶一样透亮。桃姐对Roger的偏爱借妹妹的嘴倒了个干净,妹妹甚至直言妒忌,同时代观众评说了桃姐能得到Roger的照顾即是Roger该做的,也算是桃姐的福气。这点Roger也不否认,只是不无哲思地感叹这难得的缘分来得恰到好处,若是换个时间,自己还真不一定能应付得来。不管是Roger母亲亲手做的燕窝,还是Roger妹妹承诺负责的丧葬费,都是桃姐这人世间最最珍稀的福报,都是桃姐用自己一生毫无保留的付出换回的。
和绝大多国产人物传记不同,《桃姐》的故事非流水账颂功德,而是生活细微处的一一体现,在爱的主题下,彰显着人与人之间的尊重与尊严。桃姐突然中风,Roger想请人在家照顾她,桃姐却执意要去老人院,Roger说要帮她出费用,桃姐亦坚持要自己掏,Roger从之;Roger妈妈从美国来看桃姐,给她钱时她死活不收,妈妈顺势改送自己脖子上的围巾。尽管主仆身份有别,桃姐却有她质朴的尊严,而Roger一家老小亦不失涵养。
桃姐的故事并非凭空捏造,《桃姐》改编自香港监制李恩霖的真实遭遇,这让《桃姐》的故事有了鲜活的现实基础,也让影片中人性的光辉有了现实的意义。看过《桃姐》,恍然觉得,这冰凉的人世间尚有纯粹的人,纯粹的爱,尚还有真情温存,爱的希望。《桃姐》就像是一份文火慢炖的心灵鸡汤,宽慰着这个已迷失的社会。
许鞍华在《得闲炒饭》里召回了阔别13年的周慧敏,在《桃姐》中则唤醒了息影10年的叶德娴。再度归来的叶德娴将她的沧桑全部倾倒在桃姐身上,叶德娴将一个老人的质朴与细腻、迷茫与孤独、尊严与倔强与诠释得形同己出。凭借叶德娴对人物出色的表达与演绎,《桃姐》延续许鞍华作品女主角功成名就的传统,一举拿下威尼斯影后和金马影后,这也是叶德娴从影生涯的最高荣誉。凭借Roger角色,刘德华也斩获了他继《无间道》之后的第二只金马。
Roger是刘德华从艺以来接到的最好的角色,据说当初刘德华还一再犹豫,怕是自己明星的光环会影响桃姐的塑造。华仔的担心不无道理。为了规避跳戏的因素,造型师和服装师并没有给电影人Roger设计前卫的形象,而是给了他一个不显山露水的造型,以至于在Roger收拾完企图耍滑头的银行经理后,被前台小姐误认为是修空调的;在饭馆吃饭,Roger还被误认为是开出租的,而他低调且风趣地说自己是修空调的。
桃姐是社会原始质朴的符号,Roger代表社会本真的良知,影帝影后内敛而深邃的表演成就桃姐的故事。但《桃姐》并不是传记片,也志不在给人物贴标签立牌坊。别看《桃姐》笑点颇多,充斥着生活的小情趣,《桃姐》绝对不是喜剧片,相反它是冷色调的,悲沧的,它的温暖漂浮在孤独的冷光中。《桃姐》是一出人世无常的喜乐会,是某种心灵的召唤,在孤独的人性中,桃姐和Roger幸运地碰撞出了火花,是缘分,也是偶然。桃姐和Roger并不代表当代的大多数,只是一种心灵深处低沉的召唤,或者说是某种现实的鞭挞。
和桃姐与Roger之间的浓情比起来,老人院里其他老人就未必都那么幸运了。他们中有入院最久却从来没有子女探望的孤老,有一边吃饭一边漏菜被人取笑委屈哭泣的老头,有一直惦记儿子到来身边却只有女儿探视的老太,有成天追求老太太不得四处借钱嫖妓的老色鬼,甚至还有因尿毒症早早住进来且还需老母亲陪护的中年女子……这个忙碌的世界,这个冰冷的世界,谁又能奢望一个美满的终老?
《桃姐》故事最终告诉我们,只有博爱才能得到圆满的福报,这如像是桃姐和Roger妈妈轻描淡写谈到的信仰。桃姐用他孤寡的六十多年人生去爱护Roger一家整整五代人,最终换取了Roger一颗感恩回报的爱心,这是神旨,亦是宗教。
然而就电影艺术而言,许鞍华不能把圈圈画得太美满,就在桃姐再度中风无力回天之际,Roger并没有陪护她离开,而是选择继续背起他那黑色宿命的双肩背,按原计划奔波内地继续他劳碌的命运。
桃姐孤独的人生结束,Roger和我们孤独的人生还在继续,留下一个苍茫的话题,我们又将如何终老?(文/曾念群)